Trunk Port 완벽 가이드 – VLAN 간 데이터 전달을 위한 최적의 네트워크 설정
네트워크에서 VLAN을 활용하려면 Trunk Port(트렁크 포트) 설정이 필수적입니다. Trunk Port는 여러 VLAN의 트래픽을 하나의 물리적 링크를 통해 전달하는 기능을 하며, VLAN 태깅(Tagging) 기술을 활용해 데이터를 구분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Trunk Port의 개념, Access Port와의 차이점, VLAN 태깅 방식, Cisco 장비에서의 설정 방법을 상세히 다룹니다.

📌 목차
1️⃣ Trunk Port란? 개념과 역할
2️⃣ Trunk Port vs. Access Port 차이점
3️⃣ VLAN 태깅 방식 – 802.1Q vs. ISL
4️⃣ Trunk Port 설정 방법 (Cisco 예제 포함)
5️⃣ 친절 상담 서비스 안내
1️⃣ Trunk Port란? 개념과 역할
🔹 Trunk Port란?
Trunk Port(트렁크 포트)는 여러 VLAN의 트래픽을 하나의 링크로 전달하는 스위치 포트를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스위치 간 연결 또는 라우터 연결 시 VLAN 트래픽을 전달하는 데 사용됩니다.
✅ 주요 기능
✔ 여러 VLAN을 하나의 포트로 연결
✔ VLAN 태깅(Tagging) 기술을 이용해 데이터 구분
✔ 네트워크 트래픽 최적화 및 관리 효율성 증대
✅ 사용되는 환경
✔ 스위치 간 VLAN 연결 (Inter-Switch Link)
✔ VLAN이 설정된 네트워크에서 라우터 연결 (Router-on-a-Stick 방식)
📌 Trunk Port는 VLAN 환경에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2️⃣ Trunk Port vs. Access Port 차이점
구분
|
Trunk Port
|
Access Port
|
역할
|
여러 VLAN의 트래픽 전달
|
하나의 VLAN만 허용
|
태깅(Tagging)
|
VLAN 태그 포함 (802.1Q, ISL)
|
VLAN 태그 없음
|
사용 환경
|
스위치-스위치, 스위치-라우터 연결
|
사용자 단말기(PC, 프린터) 연결
|
VLAN 수
|
다수의 VLAN 통신 가능
|
단일 VLAN에만 속함
|
설정 필요 여부
|
명시적으로 Trunk 모드 설정 필요
|
일반적으로 자동 할당됨
|
📌 Trunk Port는 여러 VLAN을 전달하지만, Access Port는 단일 VLAN에만 속하는 차이가 있습니다.
3️⃣ VLAN 태깅 방식 – 802.1Q vs. ISL
Trunk Port는 VLAN 간 데이터를 구별하기 위해 태깅(Tagging) 기술을 사용합니다. 대표적인 방식으로 IEEE 802.1Q와 Cisco ISL(Inter-Switch Link)이 있습니다.
구분
|
IEEE 802.1Q
|
ISL (Cisco 전용)
|
지원 장비
|
모든 네트워크 장비
|
Cisco 장비 전용
|
태그 크기
|
4바이트 (VLAN ID 포함)
|
30바이트 (Cisco 전용 포맷)
|
네이티브 VLAN 지원
|
지원 (VLAN 태그 없이 전송)
|
미지원 (모든 프레임 태깅)
|
사용성
|
표준 프로토콜 (대부분 사용)
|
Cisco 독점 기술 (현재 거의 사용 안 함)
|
📌 현재 대부분의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IEEE 802.1Q 방식이 표준적으로 사용됩니다.
4️⃣ Trunk Port 설정 방법 (Cisco 예제 포함)
✅ 1. 기본 Trunk Port 설정 (Cisco 스위치)
enable
configure terminal
interface gigabitEthernet 0/1
switchport mode trunk
switchport trunk allowed vlan 10,20,30
switchport trunk native vlan 99
exit
copy running-config startup-config
📌 설정 설명
switchport mode trunk
→ 포트를 트렁크 모드로 설정switchport trunk allowed vlan 10,20,30
→ 허용할 VLAN 지정switchport trunk native vlan 99
→ 네이티브 VLAN 설정 (태깅 없이 전송)
✅ 2. 특정 VLAN만 Trunk에서 허용하기
interface gigabitEthernet 0/2
switchport mode trunk
switchport trunk allowed vlan add 40
exit
📌 추가 설명
switchport trunk allowed vlan add 40
→ VLAN 40을 추가 허용
✅ 3. Trunk 포트의 네이티브 VLAN 변경하기
interface gigabitEthernet 0/3
switchport mode trunk
switchport trunk native vlan 50
exit
📌 네이티브 VLAN이란?
- Trunk 포트를 통해 태그 없이 전송되는 VLAN을 의미합니다.
- 기본적으로 VLAN 1이 설정되어 있으며, 보안상 변경하는 것이 좋습니다.
✅ 4. Trunk Port 설정 확인 명령어
show interfaces trunk
📌 이 명령어를 실행하면 현재 설정된 Trunk 포트와 VLAN 정보가 출력됩니다.
5️⃣ 친절 상담 서비스 안내
✅ 네트워크 최적화 및 VLAN 설정이 필요하신가요?
지유넷은 기업 및 기관의 네트워크 컨설팅, VLAN 설계 및 Trunk Port 설정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전화 상담: 031-716-4785
🏢 주소: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미금로 215 (금곡동 141) 대원상가 123호
🌐 홈페이지: www.gunet.co.kr
🔗 블로그: https://blog.naver.com/gunetpc
📧 이메일: gunet@gunet.co.kr
Trunk Port는 VLAN 간 데이터를 전달하는 핵심 기술로, 네트워크 환경에서 안정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필수 요소입니다.
✅ 802.1Q 태깅 방식 사용
✅ Access Port와 차이점 이해
✅ Cisco 장비에서 Trunk 설정 방법 숙지
이제 Trunk Port를 제대로 설정하여 최적의 네트워크 환경을 구축하세요!
'컴퓨터수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3월 11일 KB5053598 윈도우 11 24H2 업데이트 안내 (0) | 2025.03.13 |
---|---|
LG 15Z970-LR10K 노트북 업그레이드 가이드 | RAM & SSD 확장 및 배터리 교체 방법 (0) | 2025.03.12 |
VLAN이란? 쉽게 이해하는 네트워크 가상화 기술 (0) | 2025.03.03 |
2025년 2월 그래픽 카드 성능 TOP 5 | RTX 5090 vs 5080 vs 4080 비교 & 추천 (0) | 2025.02.28 |
2025년 2월 25일 KB5052093 Windows 11 24H2 윈도우 보안 업데이트 요약 (0) | 2025.02.27 |